잇연

[sesac LLM] day10-240113 GET, POST 본문

SESAC LLM 개발자 강의/Python

[sesac LLM] day10-240113 GET, POST

잇연 2024. 1. 16. 02:57

GET 방식:

  • URL을 통한 데이터 전송: 데이터가 URL의 일부로 전송됩니다. 예를 들어, http://example.com/api?param1=value1¶m2=value2 와 같은 형태입니다.
  • 데이터 한계: URL 길이에 제한이 있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어렵습니다.
  • 캐싱 및 북마킹 가능: URL이 전체 요청을 나타내므로, 요청을 캐시하거나 북마크할 수 있습니다.
  • 보안 취약성: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므로 중요 정보 전송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파이썬 함수 호출과 유사하게 간단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됩니다.
  • 주로 데이터 조회에 사용됩니다.

POST 방식:

  • 본문을 통한 데이터 전송: 데이터가 HTTP 요청의 본문(body)을 통해 전송됩니다. 이 데이터는 URL에 보이지 않습니다.
  • 큰 데이터 전송 가능: 본문을 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 비교적 안전: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아 GET 방식보다 보안성이 높습니다.
  • 캐싱 및 북마킹 불가: 요청의 세부 내용이 URL에 포함되지 않아 캐시하거나 북마크하기 어렵습니다.
  • 주로 데이터 생성, 업데이트, 삭제에 사용됩니다.

비유 설명:

  • GET은 엽서와 같아서 우체부(또는 누구든)가 주소와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 POST는 편지와 같아서 주소는 보이지만 내용은 봉투 안에 숨겨져 있어서 쉽게 볼 수 없습니다.

GET은 간단한 정보 요청에, POST는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 전송에 주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