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유튜브자막 추출
 - JAVA EE Integration
 - 공공기관 데이터분석
 - 영상 자막 추출
 - 유튜브자막다운로드
 - deepseek
 - 개발자도구로 영상자막 다운받는법
 - 도봉1기
 - RandomSearchCV
 - 유튜브자막 추출하는법
 - 새싹LLM강의
 - (도봉 SW 1기) LLM 활용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자 양성과정
 - Zoom 영상 자막 다운
 - Raytune
 - 도봉1기llm
 - 노션 countif
 - 딥시크
 - 나타나지 않을 때
 - Zoom 자막 추출
 - ChatGPT
 - 데이터분석 공모전 모음
 - 데이터분석 공모전
 - LLM
 - randomstate
 - 테스트데이터
 - 데이터분석대회
 - GridSerarchCV
 - hyperparameter-optimization
 - Optuna
 - Zoom자막
 
- Today
 
- Total
 
잇연
노션(Notion)에서 공백 포함, 공백 제거 글자수 세기 본문
글이 자동저장 되는 Notion에서 글쓰기란 매우 편리하다.
매번 저장하지 않아도 되고 페이지 생성도 쉽고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활용해서 공백 제외 글자수 세는 방법을 알아보자.
두줄요약
공백 포함 글자수는 데이터베이스 수식을 사용하여 length(텍스트) 수식을 쓰면되고,
공백 제외 글자수는 데이터베이스 수식을 사용하여 length(replaceAll(텍스트, " ", "")) 를 쓰면된다.
인데, 노션을 써본 사람이면 이해를 할 것이고, 노션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서 자세히 설명해보겠다.
그래서 어떻게 쓰느냐.
1. 노션 페이지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 라고 입력한다.
그러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이렇게 뜬다. 거기서 데이터베이스 - 인라인 클릭한다. 데이터베이스 -전체페이지를 눌러도 상관없다. 인라인으로 쓸거냐 전체페이지로 쓸거냐기 때문에 그걸 제외한 기능은 같다.

그러면 이런 빈 데이터베이스가 나온다.

대충 제목, 이름을 입력해준다.

2. 태그를 클릭하고, 속성 편집해서 태그 속성을 텍스트로 바꾼다.
내용을 입력할 속성을 텍스트로 지정해주는 것이다.



태그를 텍스트로 변경해도 이름은 그대로 태그로 되어있는데, "내용"으로 이름을 변경한다. (냅둬도 기능엔 지장없다.)
3. +를 눌러서 새로운 속성을 추가하고, 수식 속성으로 설정한다.


4. 수식으로 length(내용)을 작성해준다. 공백을 포함하여 입력칸의 글자수를 반환해준다.
()괄호에는 수식에 해당하는 속성의 이름을 작성해주면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속성을 이름을 입력했을 때, 해당되는 속성을 클릭하지 않으면, 내용 식별자가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라는 경고 문구가 뜨면서 속성을 인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해당 속성을 클릭해주거나. 속성을 입력해준 다음에 enter키를 눌러줘야 속성으로 인식한다.
length(내용) => 아무것도 안뜸. length(내용)=> 인식 된 거임.
그리고 완료를 눌러주면 된다.

그러면 이렇게 공백 포함 글자수를 셀 수 있다.
5. 공백 제외 글자수를 세기 위해서는 length(replaceAll(내용, " ", "")) 을 수식 칸에 입력해주면 된다.

속성에 입력한 내용에서 replaceAll 함수를 이용해 띄어쓰기를 다 제거한 뒤 해당 내용을 length 로 글자수를 세면 된다.
주의할 점은 replace 함수는 노션에서 첫번째 일치 항목만 대체값으로 바꾸기 때문에(전체글자수 -1이 되어버림)
꼭 replaceAll을 사용해야한다는 점이다.
결과

그러면 다음과 같이 공백을 포함한 글자수와, 공백을 제외한 글자수가 잘 세어졌다.
자 이제 자기소개서 쓸 때 엑셀이나 네이버 글자수세기가 아닌 방법으로 간단하게 글자수를 셀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다른 방법도 있으면 공유해주세요
-끝-